Eclipse로 자바 공부를 며칠 동안 못해서 다시 시작하려고 합니다
이번에 공부할 부분은 #자료형 입니다.
먼저 시간이 흘러서 저번에 배운 변수에 대해서 간단하게 복습을 한 후, #자료형에 대해서 올리려고 합니다
먼저 변수를 를 초기화하지 않으면 사용할 수 없습니다.
정수를 나타내는 타입은 short, int, long가 있습니다.
정수 변수 안에 실수를 넣으면 정수 부분만 변수에 저장됩니다.
주석으로 달았습니다. int는 정수형이기 때문에, 0.5(실수)를 선언할 수 없습니다.
int로 0.5를 선언하려면 0.5 앞에 () 안에 int를 붙여서 선언해주시면 에러가 발생하지 않고, 실수형을 정수형으로 변환이 됩니다.
System.out.println(a)를 사용하여 출력을 하면, 정수 부분인 0만 출력됨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int위에 double b를 0.5로 선언하여 int a = 0.5에 b를 더해주면 1.0이 되는 것을 결괏값이 나옵니다
결과값이 1이 나오는 이유는 int가 정수형이기 때문에 소수점 부분은 생략하고, 정수부 분만 결과가 나옴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것으로 복습을 마치고 #자료형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자료형 은 나에게 필요한 테이터 타입이라고 하면 됩니다. << (그때그때 사용할 수 있는 자기에게 필요한 데이터 타입)
테이터 타입 즉 자료형에서는 원시자료형, 비원 시 자료형이 있는데
원시자료형에서는 java에서 기본적으로 사용되는 boolean, char, byte, short, int, long, float, double 등이 기본자료형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string, Araay(배열)은 다른 자료형들과 엮어서 만든 개념이어서 비 원시자료형이라고 합니다.
하지만 java에서는 자료형처럼 사용되기 있기 때문에 테이터 타입에 속한다고 할 수 있습니다.
java에서는 다른 프로그래밍 언어에서 사용하는 것과 거의 동일한 자료형이 존재합니다.
char = 하나의 자료형을 나타냄
byte, short, int , long = 정수형을 나타냄
float, double = 실수를 나타냄
다른 프로그래밍에서도 모두 존재함.
java가 C언어와의 차이점은 boolean형과, string형 정도만 있습니다.
C언어에서는 boolean형이 없어서 만들어줘야 하고, string형이 없어서 char배열로 나타내는 경우가 많음.
여기서 많이 사용되는 자료형은 string, Array, boolean, char, int, double인데,
자료형 자체는 꼭 암기할 필요가 없고, 많은 훈련을 거치면서 잘 활용할 수 있게 될 것입니다.
문자열을 나타내는 자료형인 string형이 편리하게 사용되며, 내부적으로 substring 등의 함수를 제공하기 때문에 활용도가 높습니다.
먼저 project를 하나 생성해주겠습니다.
Tutorial3으로 project name를 설정해주고 finish를 클릭해줍니다.
project를 생성 후 src에 class를 생성해줍니다.
class name을 Main으로 작성하고,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 args)를 클릭하고 finish를 클릭해줍니다.
1. double형을 이용하여 평균을 구하는 프로그램 작성방법을 해보겠습니다.
double a를 10.3으로, b를 9.6으로, c를 10.1로 선언하고, a + b + c를 더해주고 / 3을 출력을 해주면 10.0이 출력됨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2. 아스키코드 기반의 char형을 사용해 a부터 z까지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작성을 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여기서는 반복문을 사용하는데, 반복되는 연산의 과정을 한 번에 소스코드를 입력하지 않고 반복하게 하는 것입니다.
문자형태의 i가 a부터 출발해서, z까지 1씩 더해가면서 하나씩 출력하는 프로그램이고.
아스키코드를 사용해서 컴퓨터 내부적으로 하나씩 증가해 가는 과정입니다.
3. 10진수를 8진수 혹은 16진수로 바꾸어 출력해봅시다.
처음 10진수를 출력하면 10진수: 200이 출력이 되고,
두 번째 8진수 args에 % o는 형식 지정자이며, a로 바꾸면 % o의 의미는 어떤 10진수를 8진수로 출력하는 과정을 수행합니다
세 번째는 한 줄도 추가해서 16진수로 바꾼 후, % x로 바꿉니다. % x는 16진수이며, 윗줄 % o에는 \n을 붙여줍니다.
4. string의 substring함수를 활용해보겠습니다.
int a를 200으로 선언해주시고
string name를 john Doe를 선언해줍니다.
그리고 출력을 name로 해주시면 string name에서 선언된 john Doe가 선언됩니다.
그리고 그 뒤에 substring를 0, 1로 해주시면 j가 선언되고, 3, 6은 n, D로, 5, 8을 선언하면 Doe로 출력이 됩니다.
마지막으로 0, 4를 선언하시면 john이 출력됩니다.
'Eclipse 자바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Eclipse] JAVA 별 찍기 (for문) 삼각형 별 찍기 (0) | 2021.09.27 |
---|---|
[Eclipse] JAVA 별 찍기 (for문), 별4개 (0) | 2021.09.27 |
Eclipse, 변수의 설정 및 사용방법 (0) | 2020.05.31 |
Eclipse : Hello world 출력 (0) | 2020.05.28 |
Eclipse 다운로드 및 설치방법 (0) | 2020.05.24 |